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의 이해

학습된 무기력

by 세헤라자데23 2023. 7. 28.

1. 마틴 셀리그먼의 실험과 학습된 무기력

마틴 셀리그먼은 미국의 심리학자로 학습된 무기력 개념을 연구하며 유명해진 인물입니다. 그가 수행한 실험은 개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실험에서는 개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었습니다. 

 

첫 번째 그룹에  속한 개들은 전기 충격을 받는 그리드 위에 있었으며, 쇼크를 피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는 레버가 제공되었습니다. 이 개들은 쇼크를 받으면 레버를 이용하여 탈출할 수 있었습니다. 

 

두 번째 그룹에 속한 개들은 무작위로 선택된 일부 개들이었습니다. 이 개들은 똑같이 전기 충격을 받는 그리드 위에 있었지만 레버가 고정되어 있어 어떠한 노력을 해도 쇼크를 피해 나갈 수 없는 상태였습니다. 

 

그 후, 두 그룹의 개들을 다시 전기 충격을 받게 하였을 때, 첫 번째 그룹의 개들은 쇼크를 받자마자 이전에 아무리 노력해도 피하지 못했던 경험 때문에 무기력하게 상황을 받아들이고 움직이지 않았습니다. 

 

이 실험에서 나타난 학습된 무기력 개념은 개체가 무력하다고 느끼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개체가 어떤 상황에서 노련ㄱ해봐야 성과를 이룰 수 없다고 학습하여 더 이상 노력을 기울이지 ㅇ낳고 상황을 수동적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이러한 무기력 상태는 개인의 심리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일상생활에서 학습된 무기력이 지속되면 우울증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틴 셀리그먼의 실험은 사람의 심리적인 측면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사람들도 어떤 상황에서 무기력해지고 힘들어하면서도 노력해 봤자 아무런 결과를 얻을 수 없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개인의 자아 감소와 더불어 우울감과 무기력함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학습된 무기력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노력해도 성과를 이뤄낼 수 있는 부분을 찾아내고 긍정적인 결과를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회적 지원과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것도 학습된 무기력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무기력한 상태에 빠진 개인은 주변 환경의 도움과 긍정적인 자기 내면 대화를 통해 자신의 자아를 확고학 새로운 도전에 대해 긍정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2. 학습된 무기력의 사람에 대한 적용 가능성

학습된 무기력은 개인의 심리적 측면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며, 사람들의 삶에도 적용 가능한 개념입니다. 사람들은 일상적으로 어떤 상황에서 무기력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계속해서 반복되는 실패 경험이나 어려운 문제에 직면했을 때, 노력해 봤자 결과를 얻을 수 없다고 느낄 때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습된 무기력은 개인의 행동과 생각,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무기력한 상태에 빠진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과 가능성을 의심하고 새로운 도전을 주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자신의 목표를 설정하거나 이루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상황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생길 수 있습니다.ㅏ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우울증, 무기력증, 무력감 등의 정신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개인의 삶의 질과 성취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학습된 무기력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첫째, 자신의 능력과 가능성에 대산 능력과 간능성에 대한 자신감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이 어떤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 과거에 어떤 성과를 이루었는지를 돌아보고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둘째, 무기력한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작은 성공을 경험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극적인 상황에서도 어떤 부분을 개선하거나 성공을 경험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극적인 상황에서도 어떤 부분을 개선하거나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냄으로써 자신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은 성공은 점진적으로 자신의 자아 강황에 도움이 되며 학습된 무기력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셋째, 사회적인 지원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족, 친구, 동료 등과의 소통과 격려를 통해 자신의 어려움을 나누고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갈 수 있습니다. 사회적인 지원은 학습된 무기력을 극복하는 데 있어서 큰 힘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긍정적인 자기 내면 대화를 통해 자신과의 대화를 긍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에게 부정적으로 이야기하는 것보다 긍정적으로 자신과 대화하며 자신을 격려하고 지지하는 것이 학습된 무기력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총체적으로, 학습된 무기력은 사람들의 삶에도 적용 가능한 개념이며, 자신의 능력과 가능성에 대한 자신감을 강화하고 작은 성공을 경험하며 사회적인 지원과 긍정적인 자기 내면 대화를 통해 극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삶을 더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더 높은 성취도를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3. 학습된 무기력에서 벗어나는 방법

학습된 무기력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개인의 자아 강화와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과정입니다. 다음은 학습된 무기력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대해 몇 가지 주요 접근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자아 강화: 자아 강화란 잣신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 이미지를 형성하고 강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학습된 무기력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자신의 능력과 가능성에 대한 자신감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이 어떤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 과거에 어떤 성과를 이루었는지를 돌아보고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자신을 자극하는 긍정적인 명언이나 슬로건을 활용하며 일기를 쓰거나 긍정적인 자기 대화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2. 작은 성공 경험: 학습된 무기력에서 벗어나기 위해 작은 성공을 경험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기력한 상태에서도 어떤 부분을 개선하거나 성공 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냄으로써 자신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ㅏ 작은 성공은 점진적으로 자신의 자아 강화에 도움이 되며, 학습된 무기력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ㅏ 목표를 작게 분할하여 조금씩 성공해 나가는 것이 유용합니다. 

 

3. 사회적인 지원: 가족, 친구, 동료 등과의 소통과 격려를 통해 자신의 어려우을 ㄹ나누고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갈 수 있습니다. 사회적인 지원은 학습된 무기력을 극복하는 데 있어서 큰 힘이 됩니다. 타인으로부터 도움과 지지를 받으면 자신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하고 새로운 도전에 대해 긍정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4. 긍정적인 자기 내면 대화: 긍정적인 자기 내면 대화를 통해 자신과의 대화를 긍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에게 부정적으로 이야기하는 것보다 긍정적으로 자신과 대화하며 자신을 격려하고 지지하는 것이 학습된 무기력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부정적인 자기 대화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긍정적이 면을 강조하여 자신을 돌봐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5. 새로운 도전과 목표 설정: 학습된 무기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새로운 도전과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새로운 목표를 향해 노력하고 성취함으로써 자신에게 자신감을 부여하고, 무기력한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도전적인 목표를 향해 진취적으로 노력하면, 무기력한 상태에서 벗어나는데 도움이 됩니다. 

 

총체적으로 학습된 무기력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아강화, 작은 성공 경험, 사회적인 지원, 긍정적인 자기 내면 대화 그리고 새로운 도전과 목표 설정을 통해 자신의 자아를 강화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면, 개인은 자신의 능력과 가능성을 믿고 무기력한 상태를 극복하여 더 높은 삶의 질과 성취도를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심리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장애  (0) 2023.07.30
불안장애  (0) 2023.07.29
방어기제 2  (0) 2023.07.27
정서이론  (0) 2023.07.26
방어기제 1  (0) 2023.07.25